본문 바로가기
역사 여행

신라 진흥왕의 정복 기념 진흥왕 순수비

by 채유니후니 2023. 5. 22.

진흥왕 순수비는 6세기 신라 진흥왕이 창녕,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 등을 정복한 지역에서 세운 4개의 순수비 중 하나입니다. 이 비석에는 진흥왕이 새로 편입된 지역을 돌아보면서 민심을 수습하고, 국가에 충성한 자들을 포항 하며, 신하들이 함께 축하한 것을 기념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습니다.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 비석은 김정희와 최남선에 의해 내용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들 비석은 '순수'라는 글자가 비문에 포함되어 있어 진흥왕이 방문한 지역을 나타냅니다. 창녕에 있는 비석은 '순수'라는 글자가 없어 척경비라고 부릅니다. 이 순수비는 6세기 신라가 한강 유역을 장악하고 함경도 해안 지역까지 진출한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북한산-진흥왕-순수비-사진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서울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북한산 비봉에 세워져 있던 북한산 순수비(국보 3호)는 신라 진흥왕이 한강유역을 장악한 후 북한산을 방문하면서 영토확장에 대한 활약과 강력한 왕권, 당시의 관직제도와 인물에 대한 내용을 담아 새겨 놓은 비입니다. 비는 직사각형의 돌로 만들어졌으며 건립연대는 561년과 569년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원래는 북한산 비봉에 있었지만 현재는 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습니다. 진흥왕 순수비는 조선후기 순조 때 추사 김정희가 발견하여 세상에 알려졌으며, 비에는 총 12행으로 행마다 32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함경남도 리원군 마운령에 위치한 북한 국보 111호 마운령 순수비는 16세기 말에 발견된 고려 윤관의 비로 알려졌지만, 일제강점기 1929년 최남선이 비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혔습니다. 마운령 순수비는 높이 1.36m로 북한산 순수비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함흥시 함흥본궁으로 옮겨져 있습니다. 비 내용은 진흥왕의 영토확장과 선정에 대한 이야기, 변경 지역의 순수함과 백성들에게 훈시한 사실, 그리고 진흥왕을 따라온 신료의 관직과 이름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운령 순수비는 진흥왕이 영토를 확장한 증거 자료로 중고기 신라의 정치사 및 제도사를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됩니다.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진흥왕 순수비는 북한의 국보 110호이며, 568년 진흥왕이 이 지역을 순찰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입니다. 조선시대에는 그 소재를 모른 채 탁본이 전해졌는데, 김정희가 1882년 함경감사에게 부탁하여 피편을 찾아내고 1852년에 황초령 아래 진흥리로 옮겨 복원하며 비각을 세웠습니다. 윤정현은 그 내력을 기록한 이건비를 함께 세웠고, 김정희에게 글씨를 부탁하여 "진흥북수고정"이라는 헌액을 걸었습니다. 현재 황초령비는 마운령비와 함께 함흥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창녕-척경비-사진
창녕 척경비

창녕 진흥왕 척경비

경남 창녕에 위치한 창녕 척경비는 신라가 창녕지역을 편입한 이후 진흥왕이 이곳을 다녀간 후 세운 기념비입니다. 비석은 자연석 앞면에 비문을 새겨두고 있으며, 이 지역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한 사실, 통치이념 등이 적혀 있었습니다. 뒷부분에는 수행하던 신하의 명단이 나열되어 있어 당시의 행정조직, 신분제 및 사회조직을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이 척경비를 세운 시기는 대가야를 멸망시키기 1년 전으로 대가야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로 삼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순수관경'이라는 제목이 보이지 않아 단양 적성비와 함께 척경비로 일컫고 있지만, 북한산, 마운령, 황초령의 순수비와 동일한 성격으로 보는 의견이 많습니다.

단양 신라적성비

신라 적성비(국보 198호)는 단양군 단성면 성재산과 적성산성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8년에 발견되었습니다. 비문에는 신라가 영토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고 충성을 바친 적성사람들의 공훈을 칭송하며, 그들에게 포상을 약속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비석은 자연석으로 만들어졌으며, 상단은 잘려나갔지만 양쪽 면이 거의 원형으로 남아 있습니다. 오랜 세월 동안 땅 속에 묻혀 있었기 때문에 글자가 깨끗하고 선명합니다. 이름과 관련된 내용은 『삼국사기』의 기록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 비는 진흥왕대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댓글